사장님, 휴가 보내주세요!!!
안녕하세요, 공회장님! '공여사들'의 마케터 김주임입니다.
하루 쉬는 날이 있었죠. 여름이 되니까 휴가 이야기가 많이 들려요. 이야기를 듣다 보면 저도 놀러 가고 싶다는 생각이 드네요.
그런데 작은 회사들은 '휴가'보단 '연차'라는 표현이 익숙하대요.
두 개가 뭔 차이냐구요?👀
휴가는 회사에서 '근로자에게 주는 모든 일하지 않는 날'이에요. 연차 소진 없이 사용하는 여름휴가, 특별휴가, 포상휴가, 리프레시휴가, 창립기념일 휴가 등등이 있죠.
연차는 근로기준법에서 정해준 휴가죠. 의무적으로 부여하는 법정 권리입니다. 이 연차가 휴가에 포함되는 거죠.
작은 회사 중엔 연차 외에 휴가가 없고, 연차를 쓰는 게 전부인 경우도 많대요. 눈치 보여서 연차를 못 쓰거나, 법적으로 당연한 연차 지켜지지 않은 경우도 많죠.
이렇게 생각하면 '휴가'를 바라는 건 사치인 걸까요?
|
|
|
대기업 복지처럼?🤔
사실 팀 '공여사들'도 아직은 연차밖에 없어요. 사용은 자유롭지만요.
- 매달 1개의 연차가 생기고,
- 1년 만근시 15일의 연차가 생겨요.
- 전날까지 노션에 등록하기만 하면
- 자유롭게 쓸 수 있어요.
게다가 대표(공여사)님은 대기업에서 누렸던 문화나 복지들을, 웬만하면 이 회사에 적용하고 싶다고 했어요. 저희 팀에도 리프레시 휴가나 경조휴가 같은 게 생기는 걸까요?😙
꿈이 커지는 거 같은데, 그래도 연차 하나 맘대로 못쓰던 지난 날들에 비하면 나은 거 같아요. 왜냐면...
|
|
|
무제한 연차는 복지가 아니에요🙄
이전 다녔던 회사에 무제한 연차 제도가 있었습니다. 신기했죠. 드라마에서나 보던 노트북 하나만 들고 바다를 보며 일하는 그런 삶이 가능할 거 같았어요.
하지만 현실은 달랐습니다. 아무도 쓰질 못했어요. 일이 너무 많았고, 누구 하나 빠져도 괜찮은 구조가 아니었으니까요. 눈치만 보다가 한 달이 훌쩍 지났어요.
그때 깨달았습니다. 중요한 건 그럴듯한 제도가 아니라, 실제로 쓸 수 있는가라는 걸요.
무제한 연차보다, 차라리 연차 개수를 정해주고 연내 강제 소진 하는 게, 어쨌든 연차를 쓰게 만들잖아요? 무제한이라는 건 결국 쓰지 말라는 얘기 같아요.
그런 의미에서 자율은 어쩌면, '제한'에서 오는 것도 같고요.
|
|
|
물론 일 열심히 하는 거 중요해요. 팀 '공여사들'도 남들 못지않게 열심히 일하죠.
하지만 성과와 생산성은 충분히 쉰 다음에야 오는 산물 같아요. 그래서 저희 팀은 빡세게 일한 만큼, '쉼'도 적극적으로 찾아 씁니다. 쉬는 걸 미안해 할 필요도 없고, 쉼이 필요한 동료에게 먼저 말을 건네기도 해요. "OO님, 좀 쉬면서 하세요"
공회장님은 휴가 잘 다녀오셨나요? 우리 조직의 '휴식' 문화는 어때요? 재밌는 이야기가 있다면 저에게도 들려주세요.
그럼, 저 김주임은 다음 소타트업 이야기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.
감사합니다🙏 |
|
|
공여사들
NO PAIN, YES GAIN!
상호명 : 공여사들 | 대표자명 : 이슬기
hello@gongysd.com (T. 070-7666-9944)
|
|
|
|
|